경회루는 왕이 신하들과 규모가 큰 연회를 주재하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곳 이다. 연못에서 뱃놀이를 즐기고 경회루에 올라 인왕산과 궁궐의 장엄한 경관을 감상하는 왕실 정원으로 꾸몄다. 창건 당시 작은 누각이었던 경회루는 1412년(태 종 12)에 연못을 크게 확장하고 누각도 큰 규모로 새로 지었다. 임진왜란으로 불 타 돌기둥만 남은 것을 1867년에 재건하였다. 
웅장하면서도 아름다운 건축 미학의 절정
근정전 勤政殿
광화문 勤政殿
옛 영화를 짐작할 수 있는4대문
경복궁 정문인 광화문은 3개의 홍예문이 나 있는 높은 석축 위에 중층의 문루가 높이 앉아 있는 장려한 건물이다. 전면 담장의 두 끝 모퉁이에는 망루인 동십자각 (東十字閣)과 서십자각(西十字閣)을 세워 조선의 5대 궁궐 가운데 유일하게 궐문 형식을 갖추었다. 서십자각은 일제강점기 때 철거되었고, 동십자각은 도로 확장으 로인해담장이안으로들어가면서궐밖의길한가운데홀로서있게되었다.
경창건된 것은 1395년(조선 태조 4)으로, 원래 이름은 '예(禮)를 널리 편다'는 뜻의 홍례문(弘禮門)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燒失)되었다가 1867년(고종 4)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이하응(李昰應)이 중건하면서 청(淸) 건륭제(乾隆帝)의 이름인 홍력(弘歷)에서 홍(弘)자를 피하기 위해 흥례문으로 고쳤다고 한다.
경복궁에 있는 3개의 문 가운데 중문(中門)
흥례문 勤政殿
근정문은 근정전(勤政殿)의 정문이다.
근정문 勤政殿
경근정문은 3문으로 되어있는데 흥례문과 마찬가지로 답도가 있고 큰 가운데 문으로는 왕만이 드나들었다. 근정문 양 옆 동서로 난 문으로는 문관과 무관의 전용 출입문이었는데 동쪽의 일화문(日華門)으로는 문관(文官)이 서쪽의 월화문(月華門)으로는 무관(武官)이 드나들었다. . 
수정문 勤政殿
국왕이 일상적으로 기거하는 곳
경복궁의 중심 건물인 근정전(勤政殿)의 뒤편에는 사정전(思政殿)이 자리를 잡고 있다. 근정전이 국가의 공식 행사를 치르는 의전용 공간의 기능을 했다면, 사정전은 왕이 신하와 경연(經筵)을 하고 정무를 보는 집무실과 같은 역할을 했던 곳이다.
사정전 勤政殿
왕의 집무 공간 뜻은 ‘생각하고 정치하라’
경복궁 안에 있던 왕의 침전
강녕전 勤政殿
경복궁의 내전(內殿)이며 왕이 일상을 보내는 거처였으며 침전으로 사용한 전각(殿閣)이다. 1395년(태조 4)에 창건하고, 정도전(鄭道傳)이 건물 이름을 강녕전(康寧殿)이라고 지었다. 강녕은 오복(五福)의 하나로, 임금으로서 해야 할 이상적인 정치이념을 궁궐 건축에 반영한 유가(儒家)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웅장하면서도 아름다운 건축 미학의 절정
경회루 勤政殿
흠경각 勤政殿
경흠경각이라는 이름은 세종이 지은 것으로, 『서경(書經)』의 요전(堯典)에 나오는 전설에서 요임금이 희씨(羲氏)와 화씨(和氏)에게 명하여 “하늘을 공경하여 백성에게 때를 일러준다(欽若昊天 敬授人時).”는 문구에서 유래한다. 흠경각 안에 장치된 천문시계는 물의 흐름으로 모든 것이 자동으로 돌아가면서 시간과 천상(天象)이 표시되도록 만든 교묘한 것이었다. 
조선 세종 20년에 강녕전 옆에 지은 전각
교태전 勤政殿
태조가 조선을 건국한 지 3년 후인 1394년에 경복궁을 창건할 당시에는 교태전이 없었으며 그 이후에 지어졌다. 건립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세종 때에 교태전이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교태전(交泰殿)은 왕비의 침전으로 중궁(中宮) 또는 중전(中殿)으로 불렀다. 교태전이라는 명칭은 주역(周易)의 64괘 중 태(泰)괘에서 따온 것인데 괘의 형상은 위로는 곤(坤)이고 아래는 건(乾)이 합쳐진 모양이다. 
경복궁의 내전으로 왕비가 거처하였던 침전
경복궁의 내전이며 대비가 거처하였던 침전
자경전 勤政殿
1865년 고종 때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재건하면서 건립되었다.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888년(고종 25년)에 중건되었다. 이 곳은 익종(翼宗:追尊王)의 비이며 고종의 양모가 된 신정왕후(神貞王后)가 거처하던 곳이다. 자경전(慈慶殿)이라는 명칭은 1777년 정조가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를 위해 창덕궁에 자경당(慈慶堂)을 건립하면서 유래된 것이다.
후궁과 궁녀들이 기거하던 곳
함화당 勤政殿
경복궁 교태전(交泰殿) 북쪽에는 많은 전각들이 있었는데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많은 전각들이 훼철되었다. 경복궁 향원정(香遠亭) 남쪽에 남은 전각 중에 내전의 침전으로 사용된 함화당(咸和堂)이 위치한다. 정면 7칸, 측면 2칸이며 서쪽은 누마루가 설치되어 있다. 함화당은 집경당과 행랑으로 연결되어 있다.
경복궁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자.
향원정 勤政殿
2층 규모의 익공식(翼工式) 기와지붕으로, 누각의 평면은 정육각형이며, 장대석(長臺石)으로 단을 모으고, 짧은 육모의 돌기둥을 세웠다. 1·2층을 한 나무의 기둥으로 세웠으며,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4분합(四分閤)을 놓았다. 공포는 내외일출목(內外一出目)이며, 일출목의 행공첨차에 소로[小累]를 두었고, 외목도리(外目道里) 밑에 장설(長舌)을 받쳤다. 처마는 겹처마이며, 지붕에 별다른 장식은 없다.
1873년 고종이 경복궁 중건을 마무리하면서 국가 재정이 아닌 내탕금(왕의 사비)을 들여 궁궐 안의 가장 깊숙한 곳에 짓기 시작하였다. 이 해에 고종은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섭정을 종식하고 친정을 선언하였는데, 이 때문에 건청궁 건립은 고종이 대원군의 그늘에서 벗어나 정치적으로 독립하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풀이되기도 한다. 고종은 1884년부터 이곳에서 기거하면서 정무를 처리하였다.
근대화를 도모 또는 근대화 의지가 꺽인곳
건청궁 勤政殿
조선 고종이 서재로 사용
집옥재 勤政殿
고종은 이곳에 선대 임금의 어진(御眞)을 봉안하고 외국 사신들을 접견하는 장소로도 이용하였다. 경복궁 내의 다른 전각들과는 달리 당시로서는 신식인 중국풍의 서양식으로 지은 것이 특징이며, 현판도 중국 북송(北宋) 때의 서예가 미불(米芾)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여 만들었다.
동궁 東宮
조선시대 왕세자의 거처
고조선시대 왕세자의 거처가 경복궁의 동쪽에 있었기 때문에 생긴 명칭이다. 따라서 동궁은 황태자 ·왕세자를 일컫는 말일 뿐만 아니라, 그들이 거처하는 궁(宮)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그래서 왕세자를 동궁마마라고 호칭했다.
경회루 특별관람
전통공연
다래체험
관람규칙
사진촬영
드론비행
주차장
사진촬영
사진촬영 경복궁에서 촬영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경복궁사이트에서 서류를 구비하여 촬영일 3일전(주말포함5일)까지 촬영허가 신청을 경복궁사이트 - 사진촬영 - 촬영허가 신청하기에 신청하고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궁능활용심의위원회 심의대상 촬영은 촬영예정일 30일전 촬영허가신청을 접수하여야 합니다. 궁능활용심의위원회 심의대상 촬영(2개 이상의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공개 제한시간 중의 촬영     공개 제한지역에서의 촬영     국보 및 보물인 전각일원에서의 촬영     촬영을 위하여 입장하는 인원이 30명 이상일 경우의 촬영     발전차 또는 크레인 등 대형장비의 반입이 필요한 촬영
궁·능원 및 유적관람 등에 관한 규정(일부개정 2017. 9.8. 문화재청 훈령 제439호) 문화재 보존·관리 등을 위하여 다음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해당하는 자에 대하여 관람중지, 관련 물품 보관 또는 입장제한 등의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1. 인화물질 및 무기류(총포, 화약, 도검류 등) 등 위험물 소지자 2. 주류, 각종 야영용품(텐트, 돗자리, 그늘막 등) 및 취사도구 소지자 음식물 반입 3. 반려동물과 함께 들어오는 자(다만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서 정한 장애인과 함께 들어오는 장애인 보조견은 예외로 한다. (이 경우 ‘장애인 보조견’이라 함은 장애인복지법 제40조 제2항의 ‘장애인 보조견 표지’를 붙인 ‘장애인 보조견’을 말한다.) 4. 운동·놀이기구, 악기, 확성기 및 다른 사람의 관람 또는 문화재의 보존·관리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물건 소지자 5. 음주, 복장, 무속행위, 방언(放言), 사사로운 제사행위, 종교집회, 고성방가, 풍기문란 및 기타 부적절한 행위로 다른 사람의 관람 또는 문화재 보존·관리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자 6. 정당한 사유 없이 관람규정이나 직원의 안내에 따르지 않는 자 7. 경복궁 경내 전 지역은 금연구역으로 하며, 유적관리기관의 장은 흡연자에 대해 관람중지, 퇴장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8. 경복궁 경내 전 지역은 금연구역으로 하며, 유적관리기관의 장은 흡연자에 대해 관람중지, 퇴장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주차장
드론비행금지 비행시 최대20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과태료부과 문의 02-524-3346
드론비행
<경복궁 주차장 진입로 재포장 보수>로 인한 주차장 사용중지 알림 <경복궁 주차장 진입로 재포장 보수>로 인하여 공사기간 동안 경복궁 주차장사용이 중지됨을 알려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공 사 명 : 「경복궁 주차장 진입로 재포장 보수」 ■ 공사기간 : 2019. 05. 21.(화) 06:00 ~ 23:00(1일) ■ 공사위치 : 경복궁 주차장 입구 ■ 공사기관 : 종로구청 ■ 안내사항 : 공사기간 동안 주차장 사용중지 ■ 문 의 : 경복궁관리소(☎ 02-3700-3921)
비행시 최대20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과태료부과 문의 02-524-3346
<경복궁 주차장 진입로 재포장 보수>로 인하여 공사기간 동안 경복궁 주차장사용이 중지됨을 알려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공 사 명 : 「경복궁 주차장 진입로 재포장 보수」 ■ 공사기간 : 2019. 05. 21.(화) 06:00 ~ 23:00(1일) ■ 공사위치 : 경복궁 주차장 입구 ■ 공사기관 : 종로구청 ■ 안내사항 : 공사기간 동안 주차장 사용중지 ■ 문 의 : 경복궁관리소(☎ 02-3700-3921)
PM 06:00
PM 01:00
PM 03:00
한국어
English
中國語
日本語